본문 바로가기

Certificate/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산업기사 실기] Section 04. 데이터베이스 개요 요약

데이터베이스 개념

여러 사람에 의해 공동으로 사용될 데이터의 중복성을 배제하여 통합하고, 쉽게 접근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저장 장치에 저장하여 항상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운영 데이터이다.

 

아래 4가지 개념으로 나누기도 한다.

  • 통합 데이터(Intergrated Data) : 자료의 중복을 배제한 데이터의 모임
  • 저장 데이터(Stored Data) :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자료
  • 운영 데이터(Operational Data) : 조직의 고유한 업무를 수행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자료
  • 공용 데이터(Shared Data) : 여러 응용 시스템들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유지하는 자료

 

DBMS 개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정보를 생성해 주고,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 주는 소프트웨어이다.

 

DBMS의 필수 기능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 정의(Definition) 기능 : 데이터형구조에 대한 정의, 이용 방식, 제약 조건 등을 명시하는 기능
  • 조작(Manipulation) 기능 : 데이터 검색, 갱신, 삽입, 삭제 등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
  • 제어(Control) 기능 : 데이터의 무결성, 보안, 권한 검사, 병행 제어를 제공하는 기능

 

데이터의 독립성

논리적 독립성 :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를 독립 시킴으로써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를 변경하더라도 응용 프로그램은 영향 받지 않음

물리적 독립성 : 응용 프로그램과 보조기억장치 같은 물리적 장치를 독립 시킴으로써 디스크를 추가/변경하더라도 응용 프로그램은 영향 받지 않음

 

스키마 개념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 조건에 관한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한 것이다.

 

스키마의 종류는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 외부 스키마 :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의 입장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논리적으로 정의한 것
  • 개념 스키마 :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논리적인 구조를 표현하고 모든 응용 프로그램이나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종합한 조직 전체의 데이터베이스하나만 존재
  • 내부 스키마 : 물리적 저장장치의 입장에서 본 데이터베이스 구조실제로 저장될 레코드의 형식, 저장 데이터 항목의 표현 방법, 내부 레코드의 물리적 순서를 나타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