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개념
2차원적인 표(Table)를 이용해서 데이터 상호 관계를 정의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릴레이션 구조
- 릴레이션 스키마 : 릴레이션에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해주는 틀을 말한다.
릴레이션 내포(Relation Intension)라고도 한다. - 릴레이션 인스턴스 : 어느 시점의 릴레이션에 들어 있는 튜플들의 집합을 말한다.
릴레이션 외연(Relation Extension)라고도 한다. - 튜플 :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각각의 행을 뜻한다.
튜플은 속성의 모임으로 구성되며, 파일 구조에서 레코드와 같은 의미이다.
튜플의 수를 카디널리티(Cardinality) 또는 기수, 대응수라고 한다. - 속성 :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각각의 열을 뜻한다.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이다.
파일 구조에서 데이터 항목 또는 데이터 필드에 해당된다.
속성의 수는 디그리(Degree) 또는 차수라고 한다. - 도메인 : 하나의 애트리뷰트가 취할 수 있는 같은 타입의 원자값들의 집합이다.
도메인은 실제 애트리뷰트 값이 저장될 때 그 값의 적합성 여부를 시스템이 검사하는 데에도 이용된다.
예시) 학년 테이블에는 1~3만 입력될 수 있다. 다른 값은 입력될 수 없다.
릴레이션의 특징
- 릴레이션에는 동일한 튜플이 포함될 수 없다.
- 튜플 사이에는 순서가 없다.
- 릴레이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튜플의 추가/삭제/수정 등 작업에 의해 변할 수 있다.
- 애트리뷰트 간의 순서가 존재하나 중요하지 않다.
- 속성의 유일한 식별을 위해 속성의 명칭은 유일해야 하지만, 속성을 구성하는 값은 동일한 값이 있을 수 있다.
-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해 속성들의 부분 집합을 키(Key)로 설정한다.
- 속성의 값은 논리적으로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원자값만을 저장한다.
관계형 데이터 모델의 개념
2차원적인 표(Table)를 이용해서 데이터 상호 관계를 정의하는 DB 구조를 말한다.
- 가장 널리 사용하는 데이터 모델
- 기본키와 이를 참조하는 외래키를 사용하여 릴레이션 간의 관계를 맺어 이용함
- 계층 모델과 망 모델의 복잡한 구조를 단순화 시킨 모델
- 관계형 모델의 대표적인 언어는 SQL 언어
- 1:1, 1:N, N:M 관계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음
'Certificate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산업기사 실기] Section 09. 인터넷 요약 (0) | 2022.08.12 |
---|---|
[정보처리산업기사 실기] Section 08. 트랜잭션 분석 / CRUD 분석 요약 (0) | 2022.08.11 |
[정보처리산업기사 실기] Section 06. E-R(개체 -관계) 모델 요약 (0) | 2022.08.11 |
[정보처리산업기사 실기] Section 05. 데이터베이스 설계 요약 (0) | 2022.08.10 |
[정보처리산업기사 실기] Section 04. 데이터베이스 개요 요약 (0) | 2022.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