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te 53 라우팅 정책 개념
하나의 DNS 이름에 대해 다수의 리소스가 연결될 경우, 어떤 방식으로 클라이언트에 응답할지를 결정하는 정책이다.
즉, 도메인 이름 → IP/엔드포인트 간 매핑 전략을 의미한다.
Route 53 라우팅 정책 비교 표
라우팅 정책 | 설명 | 대표 사용 사례 | 특징 |
단순(Simple) | 단일 레코드 또는 복수 레코드 중 하나만 응답 | 기본 DNS 응답 | 라운드로빈 가능, 조건 없음 |
가중치 기반(Weighted) | 비율(가중치)에 따라 트래픽 분산 | A 70%, B 30% 트래픽 분산 | 가중치 지정 가능 |
지연 시간 기반 (Latency-based) |
지리적으로 가장 낮은 지연 영역으로 라우팅 | 글로벌 사용자에 최적 응답 | AWS 리전 기반 |
장애 조치 기반(Failover) | 1차 리소스 장애 시 2차 리소스로 전환 | 장애 대응 아키텍처 | 상태 검사 필요 |
지리적(Geolocation) | 사용자의 위치(국가/대륙/IP)에 따라 다르게 응답 | 지역 제한 콘텐츠 제공 | 위치 지정 가능 |
지리 근접(Geoproximity) (Traffic Flow 전용) |
사용자와 리소스의 거리 + 가중치 기반 | 글로벌 서비스 최적화 | 복잡한 조정 가능 |
멀티값 응답 (Multivalue Answer) |
최대 8개의 레코드 중 일부를 반환 + 상태 검사 | 간단한 헬스체크 기반 로드 밸런싱 |
라운드로빈+헬스체크 조합 |
예제 문제
한 회사가 전 세계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웹 애플리케이션을 확장했습니다. 시스템 운영 관리자는 모든 프로덕션 인프라에 다중 리전 AWS 배포를 구현했습니다. 시스템 운영 관리자는 리소스 위치를 기반으로 트래픽을 라우팅해야 합니다.
이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시스템 운영 관리자는 어떤 Amazon Route 53 라우팅 정책을 사용해야 합니까?
- A. 지리적 위치(Geolocation) 라우팅 정책
- B. 지리적 근접성(Geoproximity) 라우팅 정책
- C. 지연 기반(Latency-based) 라우팅 정책
- D. 다중값 답변(Multivalue answer) 라우팅 정책
더보기
답 : B
A랑 헷갈릴 수 있는 포인트 : '지리적 위치' 라우팅 정책은 지역(국가, 대륙 등) IP 별로 지역 제한 컨텐츠 제공 시 사용한다. 리소스 위치를 기준으로 다중 리전에 맞게 트래픽을 라우팅하는 것은 지리적으로 근접한 곳에 라우팅하는 지리적 근접성 라우팅 정책을 사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