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heory/Infrastructure & Network

웹 표준과 웹 접근성

Hi, There!
안녕하세요, 바오밥입니다.


목차

  1. 개요
  2. 본문
  3. Reference

개요

개발자들이 웹을 구성할 때 고려해야 하는 수 많은 요소들 중 한 가지인 웹 표준에 대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또한, 웹 표준과 웹 접근성의 관계성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정리하였습니다.


본문

웹 표준의 등장 배경

인터넷이 처음 보급되던 시기에는 넷스케이프와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서로 웹 시장을 장악하고자 하였습니다.

때문에, 개발자는 넷스케이프 버전의 웹 페이지와 인터넷 익스플로러 버전의 웹 페이지를 개별적으로 개발해야 했습니다.


시간이 흐르고, 운영체제 부문에서는 윈도우가 대중적으로 배포되었고, 이때 윈도우 98이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기본 브라우저로 탑재하게 되면서 IE의 독점이 시작됩니다.

시장을 독점한 IE는 웹 표준을 고려하지 않고 ActiveX 등 윈도우에서만 동작하는 플러그인을 출시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로 인해 맥이나 리눅스에서는 호환성 관련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인터넷을 접속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즉 특정 OS나 특정 브라우저에서만 동작하는 웹 페이지, 웹 기술들은 자연스레 점유율이 낮아지게 되었습니다.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웹 표준이 주목받기 시작한 것입니다.
*결국 독점 하던 IE는 서비스를 종료하게 됩니다.

 

그래서 웹 표준이 뭐에요?

웹 표준은 어떠한 운영체제나 브라우저를 사용하여도 동일한 컨텐츠를 볼 수 있도록 웹에서 표준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을 말합니다.

이때 동일한 컨텐츠는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크기 등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플랫폼에서 접근이 가능한 동 수준의 정보를 말합니다.

 

잠깐, 그럼 웹 표준은 누가 정하는 걸까요?

웹 표준은 W3C라는 조직의 토론에 의해 결정됩니다.

결정된 내용은 4가지의 Step으로 나뉘게 되며, 이중 Step4에 해당하는 기술만 '확정 권고안'이며, 웹 표준으로 사용합니다.
step1~3은 비표준으로 사용을 권장하지 않으며 특정 브라우저에서는 같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웹 표준의 장점

  • 포털 사이트의 검색 봇이 웹 표준(의미를 가진 시멘틱 태그 등)을 기준으로 탐색하기 때문에 검색 엔진에 최적화 되어 비교적 더 많은 사용자의 방문을 유도 할 수 있습니다.
  • 의미를 가진 태그를 사용함으로써 웹 페이즈의 구조를 이해하기 쉽도록 할 수 있습니다.
  • 구조와 표현의 분리가 실현 되었습니다.
    과거에는 html의 태그들을 레이아웃 용도로 사용하며 구조를 구성하는 html 파일의 본의미가 퇴색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웹 표준을 사용함으로써 html은 구조를 css는 레이아웃(표현)을 맡는 등 파일 별로 정확한 기능 구분이 가능해졌습니다.

 

웹 접근성

웹 표준이 다양한 환경에서 동 수준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척도라면 웹 접근성은 다양한 사용자 경험에서 동 수준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척도입니다.

즉 웹 접근성이란, 장애인이나 노인 등 개인 노력에 상관 없이 웹 페이지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웹 접근성과 웹 표준의 관계성

웹 접근성은 웹 표준과 어느정도의 관계성을 띄고 있습니다.

웹 접근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접근성 보조 도구가 잘 동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합니다.

예로 웹 표준 중의 하나인 시멘틱 태그를 잘 준수하여 사용한다면 접근성 보조 도구가 웹의 구조를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이는 곧 웹 접근성 향상으로 이어집니다.

 

즉 웹 표준을 잘 준수하여 개발을 진행한다면 어느정도의 웹 접근성은 보장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웹 표준을 준수한다고 하여 모든 웹 접근성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닙니다.

글자 폰트를 확대, 축소 할 수 있는 기능을 넣는 등 다양한 사용자를 고려해야 높은 웹 접근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Reference

 

'Theory > Infrastructur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MPA, SPA의 이해  (0) 2021.08.02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 API의 차이점  (0) 2021.08.01
Broswer Rendering의 이해  (0) 2021.07.28
Load Balancer의 이해  (0) 2021.07.26
POP3와 IMAP의 차이  (0) 2021.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