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heory/Infrastructure & Network

AWS, Azure, GCP 비교 요약 구름톤에서 글로벌 클라우드 벤더사에 대한 비교 과제가 있어 정리하게 됐다.과제로 제출하는 것에 초점을 두면 의미가 없을 것 같아서 누구나 읽기 쉽게 정리해 보았다.AWS, Azure, GCP의 타겟층과 시장 점유율세 회사 모두 글로벌 대기업의 클라우드 서비스이고, 비슷해 보이지만 세부적인 타겟층은 조금 다르다.AWS (Amazon Web Services)AWS는 3개의 회사 중 가장 먼저 클라우드 사업을 시작한 업체이다.실제로 클라우드 시장 점유율도 1위를 선점하고 있으며, 2004년을 시작으로 20년 넘게 글로벌 인프라 리소스를 확장해 오고 있다.AWS는 이렇게 축적해온 글로벌 인프라 리소스를 활용해 다양한 타겟층들에게 맞춤형 솔루션을 제시하며 기술 영업을 한다.스타트업 및 중소기업(SMBs) : 초기.. 더보기
클라우드 컴퓨팅 이론 (1) 구름톤 딥다이브의 강의 내용과 추가적으로 알고있는 개념, 그리고 누구나 읽기 쉽게 정리해 요약했다.흐름을 이해해야 할 때는 흐름 순으로 정리하였고, 단순히 개념을 정리해야 하거나 구성 요소를 이해해야 하는 것들은 두괄식으로 정리하였다.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클라우드 플랫폼 정의클라우드 플랫폼은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 등과 같은 리소스들을 모으고 이들을 제어하고 운영하기 위한 Cloud Operation System 이다.클라우드 플랫폼의 종류오픈스택(OpenStack)주로 Private Cloud를 구축할 때 사용한다.NHN클라우드, 이노그리드, KINX : Openstack 기반의 IaaS 플랫폼을 제공한다.Naver, Samsung 등 일반 대기업 : 자사 인프라에 Openstack을.. 더보기
L4 Load Balancer과 L7 Load Balancer의 차이에 대해서 L4 로드밸런서와 L7 로드밸런서란?로드밸런서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여러 서버로 분산시켜 가용성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OSI 모델에서 L4(전송 계층)과 L7(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동작하는 방식에 따라 각각 L4 로드밸런서와 L7 로드밸런서로 나뉜다.L4 로드밸런서전송 계층(OSI 4계층)에서 동작TCP/UDP 패킷의 IP 주소와 포트만 확인하여 트래픽을 분산패킷의 내용을 해석하지 않고 단순한 포워딩 수행성능이 뛰어나고, 대규모 트래픽 처리에 유리예시) AWS NLBL7 로드밸런서애플리케이션 계층(OSI 7계층)에서 동작HTTP/HTTPS 트래픽을 이해하고 요청 URL, 헤더, 쿠키, 콘텐츠 등을 기반으로 분산 가능SSL 종료(SSL Termination) 및 복호화 가능콘텐츠 기반 라우팅(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