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처리산업기사

[정보처리산업기사 실기] Section 12. TCP/IP 요약 프로토콜 개념 서로 다른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 시켜 놓은 통신 규약이다.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 (구-의-타) 구문 (Syntax) :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식, 부호화, 신호 레벨 등을 규정함 의미 (Semantics) : 두 기기 간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보 전송을 위한 협조 사항과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를 규정함 타이밍 (시간, Timing) : 두 기기 간의 통신 속도, 메시지의 순서 제어 등을 규정함 프로토콜의 기능 단편화와 재결합 캡슐화 흐름 제어와 오류 제어와 순서 제어 주소 지정 다중화 경로 제어 전송 서비스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인터넷에 연결된 서로 다른 기종의 .. 더보기
[정보처리산업기사 실기] Section 11. 네트워크 관련 장비 요약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Network Interface Card, NIC, 랜카드, 이더넷 카드, 네트워크 어댑터) NIC는 컴퓨터와 컴퓨터(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이다. 정보 전송 시 정보가 케이블을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정보 형태를 변경한다. 허브 (Hub) 허브는 한 사무실이나 가까운 거리의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장치로, 각각의 회선을 통합하여 관리한다. 허브는 신호 증폭 기능을 하는 리피터의 역할을 포함한다. 허브의 종류 더미 허브(Dummy Hub) : 네트워크에 흐르는 데이터를 단순히 연결하는 기능만 수행하는 허브 스위칭 허브 (Switching Hub) : 네트워크 상에 흐르는 데이터의 유무 및 흐름을 제어하여 각각의 노드가 허브의 최대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는 지능형 허브 리피터 (R.. 더보기
[정보처리산업기사 실기] Section 10. OSI 참조 모델 요약 OSI 참조 모델 개념 설계가 다른 시스템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ISO 기구에서 제안한 통신 규약이다. 만약 OSI 참조 모델이 없었다면 표준 통신 규약이 없기 때문에 설계가 다른 시스템 간 소통이 불가능 했을 것이다. OSI 7계층은 1 ~ 3계층을 하위 계층, 4 ~ 7 계층을 상위 계층이라고 한다. 1~3 계층 : 물리 - 데이터 - 네트워크 4~7 계층 : 전송 - 세션 - 표현 - 응용 1~7 계층을 물-데-네-전-세-표-응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물리 계층은 전송에 필요한 두 장치 간의 실제 접속과 절단 등 기계적, 전기적, 물리적, 기능적, 절차적 특성에 대한 규칙을 정의한다. 물리적 전송 매체와 전송 신호 방식을 정의함 RS-232C, X.21 .. 더보기